과학 잡지
-
분석화학(5) 품질보증단계_평가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10. 19. 12:00
1. 평가(Assessment) 1) 명시한 허용치 안에서 분석 절차가 작동되는지를 보여 주는 데이터를 수집 2) 최종 결과가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증명 -표준 작업 절차를 따르는 실험실: 작업은 감시하고 기록하는 매뉴얼에 따라 이루어진다. ●관리도(Control Chart): Gauss 분포에 대한 신뢰 구간의 가시적 표현 -측정값이 원하는 목표값(target value)에서 멀리 흩어질 때 경고 -관리도(Control Charts): 장시간에 걸쳐 바탕, 교정 점검, 소량 첨가한 시료 등에 여러 작업자의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쓰일 수 있다. 관리도는 특히 다양한 매트릭스를 다루어야 할 때, 감도나 선택성을 감시할 때도 쓰인다. -품질 관리 시료의 평균값, 시간에 따른 미지 시료 또는 표준시료의 ..
-
분석화학(5) 품질보증단계_품질 보증, 명세서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10. 18. 12:00
1. 품질 보증(Quality Assurance)이란? 목적에 맞는 답(충분한 정확도와 정밀도를 갖는)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일이다. 즉 올바른 답을 얻기 위해 수행하는 일을 말한다. (1) 품질 보증의 기본 측정 데이터(Raw Data): 개별 측정값(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면적, 뷰렛의 부피 등) 처리 데이터(Treated Data): 측정 데이터에 교정 절차를 적용하여 얻은 농도나 양이다. 결과(Results): 처리 데이터에 통계 기법을 적용한 뒤에 최종적으로 보고하는 평균, 표준편차, 신뢰 구간 등을 뜻한다. (2) 사용 목적(Use Objectives) 사용 목적: 결과가 쓰일 목적 데이터와 결과에 대한 명확하고 정밀한 사용 목적 기록한다. 즉 품질 보증의 중요한 절차이자 데이터와 결과의 남용 ..
-
하루에 기온이 20℃가 떨어진 갑자기 추운 날씨가 온 이유는?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10. 17. 19:00
낮 기온이 25℃에서 5℃ 가까이 되는 온도로 떨어졌다. 여름에서 갑자기 겨울로 바뀌는 이유가 무엇일까? 1. 10월에 날씨가 따뜻했던 이유는? 10월 달에 25℃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부터 알아야 갑자기 추워진 이유를 알 수 있다. 한국의 상공에 아열대성 고기압 세력이 강했기 때문에 여름과 비슷한 날씨를 유지할 수 있었다. 아열대성 고기압을 쉽게 이해하려면 북태평양 고기압으로 생각하면 된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주로 여름철에 영향을 끼치는 고온다습한 특성을 지닌 아열대 기단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때 특징이 남쪽은 고기압을 띄고 북쪽은 저기압을 띄는 기압배치를 나타낸다. 보통 8월 중순에 끝나지만 2021년에는 특이하게 10월까지 유지되었기 때문에 날씨가 따뜻했던 것이다. 2. 아열대 고기압..
-
우주전파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10. 12. 12:00
우주전파란 태양에서 튀어나오는 전자나 양성자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우주전파에서 나오는 전자나 양성자가 지구를 덮치게 되면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통제되지 않은 상태로 전기가 흐른다. 1. 1859년 8월 28일 ~ 9월 2일 태양 대폭풍 사례 대규모 태양흑점 폭발이 일어나 전자와 양성자가 다량 생성되었던 1859년에 전 세계 전신망이 마비됐다. 이 과정을 관측하고 기록한 리처드 크리스토퍼 캐링턴의 이름을 따 캐링턴 사건(Carrington Event)이라고도 한다. 코로나 질량 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은 대규모의 태양풍 폭발 현상으로, 가벼운 동위원소 플라스마를 포함하며, 자기장이 태양 코로나 위로 올라와서 우주 공간으로 뻗어지게 된다. 방출된 코로나 물질은 ..
-
분석화학(4) 산과 염기 개론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9. 30. 12:02
산과 염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수용액 상태라는 점이다. 수용액 상태가 아니면 산인지 염기인지 알 수 없다. 1. 산 염기 개념 (1) 산(acid): -물에 용해될 때 수소이온을 주는 물질. 화합물이 물에 용해되어 이온이 되는 과정을 이온화(ionization)라고 한다. -신맛이 난다. -청색리트머스가 적색으로 변한다. BTB 지시약이 황색으로 변한다. 메틸오렌지 지시약이 붉은색을 띈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과 반응한다. -염기와 중화한다. -수용액은 전해질의 특성을 띈다=전류가 잘 통한다. (2) 염기(base): -산성용액에서 산과 반응하여 물을 형성하는 물질이다. 가장 흔한 염기들은 수산화이온을 가지거나 용액에서 수산화이온을 제공할 수 있다. -쓴맛이 난다. -적색리트머스가 청색으로 변한다...
-
분석화학(3) 통계학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9. 23. 12:00
1. 가우스 분포 실험을 수없이 반복하고, 오차가 순전히 우연한 것이라고 하면, 결과는 평균값 주변에 대칭적으로 모이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반복하면 결과는 Gauss 분포(Gauss distribution)이라고 하는 이상적인 곡선에 접근한다. 2. 평균값과 표준편차 평균(mean, average): 측정값을 모두 더한 것을 측정 횟수로 나눈 것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평균주위에 얼마나 밀집되어 있는가에 대한 척도 상대 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측정단위가 서로 다른 자료를 비교하고자 할 때 쓴다. 3. F 시험을 이용한 표준편차의 비교 가설의 검증(Hypothesis test) -F 시험으로 두 표준 편차를 비교: 가설 검증(hypot..
-
분석화학(2) 실험오차, 유효숫자, 불확정성 계산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9. 18. 12:00
모든 측정에는 오차가 포함된다. 어떤 것의 '참값'을 측정하는 방법은 없다. 1. 정밀도와 정확도 정밀도(Precision, 재현성) 한 가지 방법으로 측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측정하는 것 정확도(accuracy) 서로 다른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일치하는 것 2. 유효 숫자(Significant Figures) (1) 정의 정확도를 잃지 않으면서 주어진 값을 과학적인 표기법으로 나타내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릿수 (2) 유효 숫자의 수 6.302는 유효 숫자: 4개 6.3020은 유효 숫자: 5개 1.06은 유효 숫자: 3개 0.01060은 유효 숫자: 4개 숫자 사이에 있거나 소수점 오른쪽에 있는 0은 유효 숫자로 취급한다. (3) 덧셈과 뺄셈 소수점 아래 가장 작은 자릿수까지 유효 숫자이다. 12.1..
-
스태그 플레이션이란? Stagflation 무엇일까? 왜 우려될까?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9. 17. 12:00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Economic Stagnation)과 물가상승(Inflation)의 합성어를 말한다. 1. 정의 거시경제학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는 경기침체가 진행되는 동시에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말은 1970년대 영국 정치인 맥클레오드에 기인한다. 2021년 '브렉시트(Brexit)'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산의 여파로 2021년인 지금 영국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다가오고 있다고 말이 나오고 있다. 2. 원인이 무엇일까? *영국의 경우 2021년 9월 15일(현지시간) 영국 국가통계국(ONS)에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020년보다 3.2%증가했다고 발표했다. 3.2%라는 수치는 2012년 3월 이후 최고 수치이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