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에 기온이 20℃가 떨어진 갑자기 추운 날씨가 온 이유는?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10. 17. 19:00728x90반응형
낮 기온이 25℃에서 5℃ 가까이 되는 온도로 떨어졌다.
여름에서 갑자기 겨울로 바뀌는 이유가 무엇일까?
1. 10월에 날씨가 따뜻했던 이유는?
10월 달에 25℃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부터 알아야 갑자기 추워진 이유를 알 수 있다.
한국의 상공에 아열대성 고기압 세력이 강했기 때문에 여름과 비슷한 날씨를 유지할 수 있었다.
아열대성 고기압을 쉽게 이해하려면 북태평양 고기압으로 생각하면 된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주로 여름철에 영향을 끼치는 고온다습한 특성을 지닌 아열대 기단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때 특징이 남쪽은 고기압을 띄고 북쪽은 저기압을 띄는 기압배치를 나타낸다.
보통 8월 중순에 끝나지만 2021년에는 특이하게 10월까지 유지되었기 때문에 날씨가 따뜻했던 것이다.
2. 아열대 고기압이 약해지고 이유는?
아열대 고기압 남쪽에서 고기압의 세력을 지지해주던 18호 태풍 '곤파스'가 베트남에 상륙한 이후 약해지면서 아열대 고기압이 갑자기 수축했습니다.
아열대 고기압 특징이 적도 부근에 발달하는 구름의 세력에 따라 약해지거나 강해지는데, 태풍이 지나간 뒤 대류 활동이 약해지면서 아열대 고기압 세력이 줄었기 때문에 수축했습니다.
한반도 상공에 있던 아열대 고기압이 갑자기 수축한 시점과 북극에서 우리나라로 한기가 내려오는 시점이 맞물리면서 갑자기 추위가 찾아왔다는 것이 기상청이 설명한 이유입니다.
3. 세줄요약
8월 말쯤에 사라져야 했던 아열대성 고기압이 10월까지 유지되어 여름 날씨가 지속되었다.
18호 태풍 '곤파스'가 아열대성 고기압의 세력을 줄였다.
'방벽(아열대성 고기압)'이 없어져 북극에서 내려오는 한기가 내려와 갑자기 추워졌다.
4. 추가(2020년 10월 서울날씨)
2020년 10월 서울날씨를 보면 평균적으로 10℃아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2020년 10월 서울날씨(기상청) 728x90반응형'과학 잡지 > 용어 현상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석화학(5) 품질보증단계_평가 (0) 2021.10.19 분석화학(5) 품질보증단계_품질 보증, 명세서 (0) 2021.10.18 우주전파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0) 2021.10.12 분석화학(4) 산과 염기 개론 (0) 2021.09.30 분석화학(3) 통계학 (0)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