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려운 치매, 젊을 때부터 정신 건강 챙기면 치매 예방할 수 있다건강 잡지/뇌, 치매 2022. 2. 26. 12:00728x90반응형
정신 장애란
한국의 장애인복지법에 나와 있는 정신 장애의 종류는 크게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 분열형 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등이 있다. 넓은 범위로 정신질환까지 포함할 때 공황장애와 불안장애, ADHD, 불면증까지 포함된다.
1년 이상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도 호전의 기미가 전혀 없는 경우 정신장애로 인정한다.
즉 정신적 기능에 문제가 발견되어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질환을 말한다. 정신병과 정신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신 질환과 치매 관계
미국 성인 5명 중 1명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고,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젊었을 때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더 어린 나이에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한다.
30년에 걸쳐 미국과 뉴질랜드의 연구원들은 약물 남용과 정신병, 기분 및 신경 장애와 같은 초기 정신 장애를 가진 170만 뉴질랜드 시민을 대상으로 정신 장애가 있는 개인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은지 여부를 조사했다.
JAMA Psychiatry에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정신 질환은 만성 신체 질환보다 치매와 강하게 관련 있다고 한다.
연구에서 정신 장애가 있는 개인 중 약 6%가 치매 진단을 받았고, 정신 장애가 없는 사람은 약 2%에 불과했다. 치매는 특정 질병으로 간주하지 않고 일상 활동을 방해하는 기억과 생각, 결정을 내리는 능력의 손상을 설명하는 용어로 보았다.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이며 일반적으로 노인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2014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미국 성인 중 약 50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CDC는 2060년까지 14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구자들은 정신 건강 문제와 치매 사이의 연관성이 남성과 여성, 조기 발병 및 후기 발병 치매, 다양한 유형의 정신 건강 상태, 알츠하이머 및 비 알츠하이머 치매 모두에 걸쳐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이러한 결과가 치매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을 완화할 수 있는 사람들의 삶의 초기에 정신 장애를 더 잘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정진 장애가 치매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위험의 지표일 수 있다고 한다. 실제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후속 인지 쇠퇴의 조기 경고 신호이기 때문이다. 미국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서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청소년의 약 50%가 정신 장애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NIMH는 성인 5명 중 거의 1명이 2020년에 약 5,290만 명으로 정신 질환을 앓고 있다고 추정한다. 모든 정신 질환 발병률은 여성이 거의 26%로 가장 높았고, 18~25세의 젊은 성인은 약 30%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치매 예방
연구의 주저자인 Leah Richmond-Rakerd는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신체 활동을 늘리는 것과 같이 치매 위험을 줄이는 건강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장했다. "정신 건강 문제는 항상 치매로 이어지는 종신형이 아니다"라고 말한 만큼 자기 관리를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그러나 정신질환 미국 연합(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은 모든 진단이 치료에 대한 경험과 필요,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한 치료 선택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치료와 사회적 지원, 약물 및 기타 도구가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728x90반응형'건강 잡지 > 뇌, 치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종양과 뇌암 치료하는 방법 '메티오닌 제한' (3) 2022.04.17 우울증 환자의 뇌를 변화하는 '실로시빈' 발견 (1) 2022.04.14 치매 위험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경제력의 차이 (0) 2022.04.03 알츠하이머병, 치매 유발할 수 있는 원인 단백질 발견 (0) 2022.03.03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비아그라가 도움이 된다? (0)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