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알고리즘을 피해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싶은 블로그입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코로나바이러스가 미치는 임신과 임산부에 대한 영향
    건강 잡지/건강한 삶 2022. 2. 20. 12:00
    728x90
    반응형

    진행 상황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데이터에 따르면 백신이 승인되기 전인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코로나19에 걸린 임산부는 임신하지 않은 여성보다 집중치료실(ICU)에 입원하여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백신을 접종한 임산부의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일반 인구보다 임산부의 백신 접종률은 여전히 낮다. 2022년 2월 주간 동안, 증가하는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18세 이상의 임산부 65%가 접종했고 일반 인구는 75%가 접종했다.



    왜 백신 접종을 망설였을까?
    신약 및 치료법에 대한 임상 시험에 임산부와 아기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2021년 8월 전에는 따라서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임산부에게 어떤 방식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방 접종의 이점 및 위험에 대해 연구를 할 것을 밝혔다. 이 발표가 망설임의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임신하면 면역체계에 영향을 줄까?

    전문 서적의 내용을 보면 임산부의 면역 체계는 태반과 태아의 성장 발달을 위해 임신 중에 변경된다고 한다. Yale-New Haven 병원 산후 부서 의료 책임자 Katherine Campbell은 임산부의 변경된 면역 체계는 임신 중에 더 심각한 감염에 걸릴 위험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
    코로나19의 위험 증상 중 하나인 호흡 곤란 증세는 임산부에게 심각할 수 있습니다. 면역체계가 변경된 임산부는 붓기 쉬운 신체로 변한다. 이는 몸 전체와 기도에 부족이 생길 수 있으며, 호흡기 문제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임산부에게 더 빨리 저산소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고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까?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감염된 대다수의 임산부는 심각한 결과는 나타내지 않았다고 한다.
    일부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린 임산부는 일반 임산부보다 중환자실 방문할 가능성이 약 5배(5.2%/0.9% 비율)가 높다고 한다. 하지만 이 조사는 백신을 받았는지 여부를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백신 여부와 상관없이 코로나바이러스가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졌다는 의미로만 받아들여진다.
    2022년 2월에 발표된 NIH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 또는 직후에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고혈압 장애, 산후 출혈 또는 감염에 같은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을 겪을 확률이 높다고 한다. 이 연구로 코로나바이러스의 합병증 유발 확률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졌다.



    코로나바이러스가 태아에게 위험할까?
    산모가 감염된 경우 태아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하지만 아기는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위험하다. 산모의 열과 심박수 변화, 혈압 변화와 같은 온도 변화에 태아가 민감하기 때문에 산모에게 위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아기가 계속 성장하려면 탯줄을 통한 자체 순환을 지원하기 위한 안정적인 혈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태아의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고 한다.
    제일 중요한 태아의 사산 위험을 거의 없다고 한다. 조지아주 병리학자 David Schwartz가 말하길 사산 확률은 매우 낮았지만 산모의 태반을 공격하여 태반의 보호층을 파괴하고 아기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여 매우 특이한 염증 상태를 유발했다고 한다.
    위 연구 결과들을 보면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산 확률은 낮지만 방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백신은 임산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2021년 6월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CDC의 백신 부작용 추적 앱인 V-Safe에 데이터를 제출한 35,691명의 예방 접종받은 임산부를 추적해본 결과 조산, 선천적 결함 및 유산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전체 임신의 약 15%~20%에서 유산이 발생한다. 코로나 시기의 경우에도 유산율이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아기도 안전할까?
    연구원들은 정확히 어느 정도의 항체가 보호하는지 모르지만 항체가 태반을 통과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항체가 태반으로 이동한 경우 아기의 혈액에서 최소 2~3개월 동안 지속된다고 설명했다. 2021년 9월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을 받은 산모의 아기에 항체가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아냈고 2차 접종까지 한 아기의 혈액 내 항체 수준이 예방 접종했을 때보다 높았다고 한다.
    2022년 2월 15일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임산부가 코로나 백신을 받았을 때 아기가 생후 6개월 동안 코로나바이러스로 입원할 확률이 60% 낮다고 발표했다.


    백신이 불임 확률을 높인다?
    Michigan State University 산부인과 전문의이자 불임 전문가인 Richard Leach는 백신이나 부스터가 생식 능력을 손상한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고 말한다. 예방 접종 후 월경 주기가 바뀔 수는 있지만 불임하고는 관계없다. 2022년 1월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월경 주기가 예방 접종 후 더 약간 더 오래 지속되었지만 2~3개월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임산부에게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안전할까?
    2021년 8월 백신을 접종한 임산부의 데이터가 쌓이자 CDC와 세계 보건기구(WHO)는 공식적으로 임산부에게 백신 접종을 권장했다. 임산부가 백신을 맞은 후 열이 나면 태아가 다치거나 조산하지 않을까 걱정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말하길 임신한 환자가 주사를 맞은 후 열이 날 경우 타이레놀을 복용하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로울 가능성이 없다고 말한다.


    이 글을 마치며

    많은 자료와 인터뷰 등을 참고하여 작성했다. 한국보다 데이터가 많을 미국에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여 신뢰도를 높이려고 노력했다. 연구 자료들을 읽어보면서 느낀 점은 일반 사람들과 임산부의 차이는 거의 나지 않았다.
    이 글은 확실하게 임산부가 백신을 맞아도 안전하다를 알리는 글이 아니다. 지금까지 백신을 접종한 임산부들이 일반 사람들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다는 의미로만 봐줬으면 좋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