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의 지속적 온도 상승? 왜 뜨거워질까?과학 잡지/용어 현상 사례 2021. 9. 11. 12:00728x90반응형
지구가 붉게 타오르고 있다는 다큐멘터리와 잡지들을 보고 실제로 얼마나 증가했을 지 궁금하여 알아보았다.
해수면 온도로 조사하였다.
1. 덕적도
2월 8월 2010 0.3℃ 22.2℃ 2015 3.4℃ 22.8℃ 2017 3.5℃ 23.9℃ 2. 외연도
2월 6월 2010 5.7℃ 19.4℃ 2015 5.3℃ 19.8℃ 2017 5.4℃ 19.9℃ 3. 칠발도
2월 8월 2010 5.2℃ 21.9℃ 2015 10.1℃ 20.8℃ 2017 5.5℃ 23.6℃ 4. 추자도
2월 8월 2015 12.8℃ 26.8℃ 2017 13.1℃ 29.1℃ 5. 마라도
2월 8월 2010 14.6℃ 28.7℃ 2015 14.1℃ 27.3℃ 2017 15.4℃ 29.5℃ 6. 울릉도
2월 8월 2015 11.2℃ 25.2℃ 2017 12.0℃ 26.4℃ 7. 국내 해수면온도 변화율 분포도
50년간 수온변화를 나타낸 분포도이다.
동해에서 0.70~2.09℃, 서해에서 0.25~2.45℃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해에서 한 지점(위도 34.45도, 경도 128.01도)만 –0.04℃로 감소하고, 그 밖의 정점에서 최대 1.86℃ 증가하였다.
8. 대기흐름 변화
온도차가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대류의 흐름이 느려지고 에너지를 순환시키지 못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에 맑을 때는 오랜 기간 맑고 비가 올 때는 장마라고 하여 지속적으로 내린다.
하지만 유독 해가 갈수록 이 날씨의 유지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이유 때문이다.
대류의 흐름이 약하기 때문에 고기압이 들어올 경우 더 오래 머무르고 저기압이 들어와도 더욱더 오래 머물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의 나라들도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국의 경우와 서유럽에서 발생한 홍수와 벤쿠버에서는 폭염에 49℃가 유지되는 현상도 이러한 여파 때문이다.
9. 마무리
환경에 대해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마무리를 어떻게 지어야할 지 모르겠다.
오래 전부터 많은 이야기들이 나오지만 결국에는 해결되지 못했다.
지금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폭염에 홍수가 발생해도 이유는 알지만 뭘해야할 지도 모르겠다.
대기흐름도를 보며 5~10년 전 대기흐름과 현재의 대기흐름을 보면 충격을 받을 정도로 차이가 크다.
의례적으로 재활용잘하고 환경오염에 관심을 가지자하고 끝내야 하는걸까?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이 참여해야하는 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을 해봐야할 것 같다.
항상 보면 문제라는 걸 알면서도 넘어가려는 현실 어떻게 해야할까?
728x90반응형'과학 잡지 > 용어 현상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소나기가 변화하고 있다? (0) 2021.09.13 열 및 물질 전달(3) 복사 (0) 2021.09.12 SI단위(국제단위계)에 대해 알아보자! (0) 2021.09.10 화학전지란? (1) 1차전지 (0) 2021.09.09 열 및 물질 전달(2) 대류 (0) 2021.09.08